18.191.21.86
18.191.21.86
close menu
KCI 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분석한 ‘예비유아교사의 코로나-19 상황 온라인 강의’에 대한 인식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Online Lectures in the COVID-19 Situation Through Photovoice
최인욱 ( Inyounk Choi )
인문사회 21 12권 5호 2833-2846(14pages)
DOI 10.22143/HSS21.12.5.200
UCI I410-ECN-0102-2022-000-000902247

본 논문은 코로나19의 확산세로 인해 대학의 수업 형태가 온라인 강의로 전환되는 과정 속에서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가 온라인 강의에 대해 느끼는 인식과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따라서 J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3학년 6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23일부터 3주간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자료 수집과 토의를 각각 3회 실시하였다. 포토보이스 연구물을 연구 참여자들이 함께 공유 및 논의하여 온라인 강의의 이로움, 온라인 강의의 제한점, 온라인 강의에 대한 보완점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강의의 편의성과 경제성에 만족을 느끼고 있었으나 상호작용과 집중력의 부족을 단점으로 꼽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의 현실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코로나19의 범세계적 유행에 따라 온라인 강의가 미래 교육의 한 축으로 변모하는 현시점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온라인 강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erceptions and problem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online lecture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university classes to online lectur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finds ways to improve accordingly. Therefore, data collection and discussion were conducted 3 times each for 3 weeks from July 23, 2021 using photo voice for 6 3rd grad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 university. Photovoice research materials were shared and discuss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categorized into benefits of online lectures, limitations of online lectures, and supplements to online lectures. As a resul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and economic feasibility of online lectures, but they cited the lack of interaction and concentration as a disadvantage, and the opinion was deriv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realistic application method of online lectures that can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online lectures to effectively enhanc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present moment when online lectures are transformed into one axis of fu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global epidemic of COVID-19.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내용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