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인포데믹 현상을 경험하면서 허위정보를 판별하고 언론보도를 평가하는 개인의 인지적 정보처리와 공동체를 지지하는 행위적 실천에 주목해보았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비판적 이해 및 사회적 소통능력이 팬데믹 관련 정보에 대한 인지적 정보처리(허위정보판별, 언론보도평가)와 행위적 실천(정보추구행동, 공동체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 4∼11일까지 18∼88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능력은 허위정보판별 및 부정적 언론보도평가와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소통능력은 허위정보판별과 부적 관계를 갖고 있었다. 또 비판적 이해능력과 사회적 소통능력은 각각 정보추구행동과 정적 관계를, 또 공동체 지지행동과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고, 미디어 리터러시가 사회적 실천을 동반한다는 것을 검증해주었다는 점에서 이론적 · 실용적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of two media literacy dimensions (critical comprehen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with two cognitive variables (misinformation judgement, evaluation on COVID-19 news reports) and two behavioral variables (information seeking, community support)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South Korea. Utilizing data from a large online public opinion survey conducted in South Korea (N = 1,000),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wo media literacy dimens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Specifically, critical comprehen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misinformation judgement and negative evaluation on COVID-19 news reports. Both critical comprehen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of information seeking and community support. This study evidences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for pandemic control as it showed that media literacy can promote misinformation judgement accuracy and pro-social behaviors during a pandemic situation.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의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 및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070-002149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