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COVID-19가 유·무형자산 손상차손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COVID-19 on Impairment Loss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간행물 정보
  • 이용수 38
회계정보연구 제42권 제4호.jpg

키워드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COVID-19가 유형 및 무형 자산 손상차손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간에 차이가 있는지, 또 COVID-19가 극심한 영향을 미친 기업들에서 어떤 결과를 보이는지를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COVID-19가 시작된 2020년부터 2022년까지의 위기 지속 기간과 이전 3년 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를 포함하여, 평균 차이 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COVID-19가 유형 및 무형자산 손상차손의 증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한다. [연구결과] 유형자산 손상차손은 COVID-19 2년차 부터 증가했고, 무형자산 손상차손은 첫해부터 COVID-19 이전기간보다 감소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시장별 비교 결과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유형자산 손상차손과 무형자산 손상차손이 전체 표본의 분석결과와 방향성은 같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고, 코스닥시장에서 COVID-19가 유·무형 자산손상차손에 미친 영향이 확연히 나타나, COVID-19 이후 유형자산의 손상차손이 증가하였고, 무형자산 손상차손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팬데믹 영향이 극심했던 기업특성을 가진 표본들은 손익구조가 극도로 열악한 상황으로 유형별 손상차손을 조정하려는 유인이 작용하지 않아 COVID-19 전후 유·무형 손상차손 인식에 일관성있는 유의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연구의 시사점] COVID-19 전후 유·무형 자산 손상차손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를 위기 지속 기간별로 분석함으로써 그동안의 경제위기와는 달리 전염병이라는 외부적 요인에 의한 특별 위기 상황에서의 현상을 밝힘으로써 손상차손회계의 감독지침을 주관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는 물론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OVID-19 on impairment loss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e also observe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between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and what results were seen under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that were severely affected by COVID-19. [Methodology] The regression model and mean difference test are used with KSE and KOSDAQ listed firms. And the period of this research is from 2017 to 2022. [Findings] We found that impairment losses on tangible assets increased from the second year of COVID-19, and impairment losses on intangible assets decreased from the first year of COVID-19 period. As a result of comparison by market, COVID-19 more severely affected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 the KOSDAQ market. However, in situations where the profit and loss structure was extremely poor,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impairment losses were not observable pre and post COVID-19. [Implications] By analyzing whether there ar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impairment losses between pre and post COVID-19, unlike previous economic crises, we can clarify the phenomenon in special crisis situations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It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cision-making of various stakeholders as well as policymakers in charge of supervisory guidelin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