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교수자의 개입과 학습몰입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교수자의 개입과 학습몰입이 대학 학습자들의 학습만족과 학습지속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변인 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소재 대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교수자의 개입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2주간 배포⋅수집하였다. 해당 자료는 데이터 코딩 및 데이터클리닝 작업을 거쳤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을 수행한 뒤, 다중회귀분석과 변인감소법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 학습만족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및 변인감소법 결과 유의한 변인으로 교수설계자, 상호작용 촉진자, 학습몰입 변인이 도출되었으며,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및 변인감소법 결과 유의한 변인으로는 교수설계자 변인과 학습몰입이 도출되었다. 상호작용 촉진자 변인은 종속변인에 따라 유의성이 엇갈렸으며, 학습정보 제공자 변인은 어느 종속변인에도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학습성과에 대해 교수설계자 변인과 학습몰입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진 주요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비대면 교육환경 또한 대면수업 환경과 마찬가지로 교수설계모형에 입각한 수업을 구성하여야 하며, 학습자의 몰입을 저해하는 비대면 학습 환경 특성 및 방해요소들을 극복하고 몰입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의 인지부하를 고려하여 중요 학습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for effective non-face-to-face instruction through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instructors’ facilitation and learning flow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Methods A survey regarding instructors’ facilitatio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as conducted among 262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for two weeks. The results went through data coding and cleaning as well as seri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investig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variable reduction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ble reduction methods for learning satisfaction have shown/proven that instructional designers, interaction facilitators, and learning flow variable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As for learning persistence, instructional designer and learning flow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under the same procedure.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facilitator variable ha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provider variable was derived as a variable that was not significant to any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Instructional designer variables and learning flow were derived as the major variables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learning outcomes. In other words, non-face to face instructional environment should organize classes based on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various methods to overcome the characteristics and obstacles of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at hinder learners' attention. In addition, it would be desirable for instructors to provide only the important learn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cognitive loa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