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전후 초등교사의 직무요구와 소진의 관계

학교조직풍토의 조절 효과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각각의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요구와 교사 소진의 관계를 밝히고 직무요구와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학교조직풍토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어 온-오프 병행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담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상관분석, 변인 각각에 대한 코로나 전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검정, 직무요구가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조직풍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전의 직무요구와 교사소진은 코로나19 이후에 높아졌으나, 코로나19 이전의 학교조직풍토는 이후에 낮아졌다. 둘째, 코로나19 이전 초등교사의 직무요구는 학교조직풍토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교사소진과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19 이후에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코로나19 이전의 초등교사의 직무요구와 교사소진의 관계에서 학교조직풍토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했다. 결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초등교사의 소진을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지원 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teacher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Methods Data was collected to 250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ho worked on an on-off parallel curriculum since the second stage of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Fir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asuring variables was perform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each of the variables. Second, a series of independent t-tests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each variable. Third,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in the effect of job demand on teacher burnout. Resul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fter COVID-19, job demands and teacher burnout increased slightly compared to before COVID-19, while after COVID-19, the school climate deteriorated slightly compared to before tha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deman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COVID-19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burnout, and the same results after COVID-19. Third,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eacher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fore COVID-19, but it had no a moderating effect after COVID-19. Conclusions We discuss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lleviate and prevent burnout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