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중학교 사회 교사가 ‘좋은 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좋은 수업’을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공개 수업 및 원격 수업에 관한 참여 관찰 자료, 현지 자료,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에믹 코딩(emic coding)을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의 패턴을 파악하여 주제화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코로나 19 상황과는 상관없이 ‘좋은 수업’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수업 목표 측면에서는 “의미 있는 수업”, 내용 측면에서는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수업”, 방법 측면에서는 “애들이 활동하는 수업”, 환경 조성 측면에서는 “상호작용이 잘 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의 조건으로 강조하였다. 또한 코로나 상황에서 ‘좋은 수업’을 위한 연구 참여자들의 노력에는 수업 준비부터 수업 실행 및 피드백 등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흐름이 있었다. 이러한 좋은 수업을 위한 노력은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에 적용하여 살펴 볼 수도 있었다. 이를 통해 좋은 수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수업의 계획 및 실행, 평가 및 반성 등의 단계에 맞춰 치밀한 수업 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지리와 일반사회를 함께 다루어야 하는 중학교 사회 교과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자신의 전공이 아닌 다른 영역도 가르쳐야 하는 교과 전문성도 갖추려고 애쓰고 있었다.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다양한 사회과 수업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좋은 사회 수업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가 사회 교사의 인식을 토대로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좋은 사회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요건들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 나아가 좋은 수업을 실현하고자 하는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ived ‘good instruction’ and what efforts they were making for ‘good instruc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end, three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bservation data on participation in open classes and distance learning, local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nature of ‘good instruction’ would not change regardless of COVID-19 situation. The ideal appearance of a good class perceived by participants was ‘a meaningful class’. The meaningful class is a class that achieves the level of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I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by connecting its contents or activities to students’ lives. To become such a ‘meaningful class’,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children to work happily in the class. Research participants’ efforts for ‘good instruc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had a series of flows from class preparation to class execution and feedback. Efforts of these study participants for a good class could also be looked at by applying fiv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ADDIE mode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hich have to deal with geography together, they were striving to have subject expertise that required teaching areas other than their major.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senting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good social classes in a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 based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t will further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who want to realize good class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코로나 상황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좋은 수업의 본질은 달라질 거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Ⅴ. 코로나 상황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노력: “교사는 무대에 서는 배우와 진짜 비슷해요.”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74-000213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