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7 No.7.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개인주의-집단주의, 사회지향성-자율지향성, 회복탄력성이 COVID-19 팬데믹에서의 소외감과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생과 성인(20세~74세) 646명을 대상으로 2020년12월 6일부터 2021년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회복탄력성은 소외감과불안, 우울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다. 불안군은 28.9%, 우울군은 44.9%, 불안과 우울 공존군은 25.1%였다. 불안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1.95배 높았고, 사회지향성이 높을수록 2.10배, 자율지향성이 높을수록 2.04배, 소외감이 심할수록 2.34배, 회복탄력성이 낮을수록 4.00배높았다. 우울군으로 분류될 가능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40배, 사회지향성이 높을수록 1.99배, 수직적 개인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1.41배, 회복탄력성이 낮을수록 4.76배, 소외감이 심할수록 5.01배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팬데믹에서의 불안과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소외감을 줄이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sociotropy-autonomy, and resilience on alienation,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total of 646 participants (aged 20 - 74) took part in the online survey (December 6, 2020 - January 24, 2021). Resilienc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lienation, anxiety, and depression. Anxiety, depression, and comorbid groups were 28.9%, 44.9%, 25.1% respectively. Significant predictors of anxiety were female (OR = 1.95), income (OR = .86), sociotropy (OR = 2.10), autonomy (OR = 2.04), resilience (OR = .25) and alienation (OR = 2.34). Female (OR = 2.40), vertical individualism (OR = 1.41), sociotropy (OR = 1.99), resilience (OR = .21), and alienation (OR = 5.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To alleviate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COVID-19, it is important to reduce alienation and increase resilienc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