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상황에서의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탐색

A대학교를 중심으로

목적 정부의 위드(With)코로나 방역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에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통해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양교육에 대한 의사결정 시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A대학 교양교과목 수강생 4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학습자의 교양교과목에 관한 경험을 토대로 강의구성, 학습활동, 학업성취, 평가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분석방법은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요인별 요구도 순위를 조사했고,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교수자의 수업설계에 관한 요구 중 가장 높은 추이를 보인 내용은 교양교과목에 맞춘 다양한 이론강의와 학습활동 구성이었다. 둘째, 교수자는 학생들이 교양수업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교수⋅학습자 간 상호소통의 기회를 자주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은 교양수업 성적평가와 관련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준과 중요도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현재 학생들은 A대학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 평가를 하고 있다. 결론 이를 위해 교수⋅학습자 간의 교육성과와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유형에 상관없이 상호 간에 소통이 잘 될 수 있는 수업설계의 보강이 필요하고, 대학과 교수자는 새로운 수업유형에 맞춰 자율적으로 수업설계를 하고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준체계 마련이 요구됨을 제시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and necessity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at the time when the government's COVID-19 prevention policy was in full swing. For this purpose, 475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ourses at A Univ.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evaluated on their experiences of taking liberal arts courses, awareness and necessity of lecture structure, learning activities,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evaluation. Methods As a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quirement ranking by factor through the Borich’s Requirement Formula and the The Locus for Focus Mod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test for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Results First, the content showing the highest trend among the teachers' requests for lesson design perceived by learners was the composition of various theoretical lectures and learning activities tailored to liberal arts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think through liberal arts classes, and to have frequent opportunities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both at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liberal arts class grade evaluation. Fourth, students gave an overall posit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liberal arts curriculum. Conclusions The researcher first needs to reinforce the lesson design that can communicate well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type of class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and professors are required to prepare a standard system that can autonomously design lessons according to new lesson types and monitor learners' learning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대상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