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 No. 3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3, pp. 129-139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6 Jul 2021 Revised 03 Sep 2021 Accepted 17 Sep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129

코로나 19로 인한 피트니스센터 참여자들의 참여변화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배정섭1 ; 서광봉2 ; 변현3
1건국대학교 교수
2경민대학교 교수
3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겸임교수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change process of fitness center participants due to the COVID-19
Bae, Jungsup1 ; Suh, Kwangbong2 ; Byun, Hyun3
1konkuk University
2kyungmin University
3Seoul Culture Art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Suh, Kwangbong E-mail: judoskb@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spor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with participants at the fitness cen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six participa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fitness center had negative psychological changes depending on the changed environment due to COVID-19, which showed fear, anxiety and discomfort. Second, COVID-19 caused constraint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which were identified as restrictions on collective prohibition,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economic constraints. Third, although there were psychological changes and restrictions, the participants showed a willingness to overcom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resulting from a cognitive desire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an actional desire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Finally, the subjects were found to have made efforts to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such as finding alternative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t a minimum cost, and changing routines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Keywords: COVID-19, fitness center, participation change process, phenomenological analysis
키워드: 코로나 19, 피트니스센터, 참여변화과정, 현상학적 분석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질적탐구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것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됨


References
1. 강수진, 김영호(2011).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변인이 노인들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2(3), 113-124.
2. 강희엽, 이철원, 조남흥(2014). 피트니스 참여자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진지한 여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3(6), 387-400.
3. 권오정(2020). 코로나 19 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2), 123-134.
4. 김경오(2016). 사회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A 도시 거주 노인 신체활동 촉진전략 모색-혼합연구기법으로. 한국 체육학회지, 55(2), 47-67.
5. 김경오(2019). 사회생태학적 모델에 기반한 저소득층 독거노인 신체활동 증진방안 모색: 혼합연구의 기법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8(2), 15-34
6. 김송이(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 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6), 423-431.
7. 김영란(2020). 코로나19로 인한 가족의 변화와 정책과제. 여성가족패널브리프, 60, 1-7.
8. 김현중(2020).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가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골프 활동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남상우(2020). 포스트 코로나 사회, 스포츠, 스포츠사회학.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3(4), 1-18.
10.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18 체육백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1. 문화체육관광부(2020b). 2019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2. 문화체육관광부(2020c). 2020 국민생활체육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3. 박세윤, 최옥숙, 윤대현(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성인 운동선수의 정서인식, 심리적 경험과 대처방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2(1), 13-32.
14. 박정호. (2020).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운동제약 환경에서 노인 테니스 참가자가 지각하는 운동자기효능감이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5), 293-304.
15. 박희석, 반정화, 정현철, 김수진(2020). 코로나 19 사태가 서울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소상공인 및 관광업 대응 방안. 정책리포트, 1-32.
16. 백선경, 박주영. (2011). 대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정도와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3(7), 531-545.
17. 변지용, 김지영, 이주희, 전용관(2015). 파킨슨병 환자의 그룹 운동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4(4), 665-678.
18. 사혜지, 김민정, 이철원(2017). 피트니스 대회 여성 참가자들의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6(1), 517-531.
19. 성문정(2020). 코로나 19 시대의 바람직한 스포츠정책 방향. 스포츠과학, 151, 2-9.
20. 이은희, 이주희(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문제 중심적 대처 방식,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45-175.
21. 이철원(2000). 여가경험의 구성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19, 195-211.
22. 이철원(2013).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3. 장사랑, 손애리(2020).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 19 위험인식과예방행위에 관한 이해.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7(4).
24. 정영남(2018). 수상스포츠 지각 위험 요인 분석과 재 참가의도 및 만족도 증진을 위한 대응 방안.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505-516.
25. 조정환, 강보미(2009). 신체활동의 환경적 사회적 요인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1(3), 87-104.
26. 한아영, 정구중, & 김범. (2021). 스포츠참여자들의 코로나 19 에 대한 관여도, 위험인식, 부정적 감정, 위험태도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정책학회지, 57, 133-146.
27. Asmundson, G. J., Paluszek, M. M., Landry, C. A., Rachor, G. S., McKay, D., & Taylor,S. (2020). Do pre-existing anxiety-related and mood disorders differentially impact COVID-19 stress responses and coping?.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4, 102271.
28.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Gray, L., MacDonald, C., Mackie, B., Paton, D., Johnston, D., & Baker, M. G. (2012). Community responses to communication campaigns for influenza A (H1N1): A focus group study. BMC Public Health, 12(1), 1-12.
30. Husserl, E. (2012). Ideas: General introduction to pure phenomenology. Routledge: UK.
31. Lee, S. A. (2020). Coronavirus Anxiety Scale: A brief mental health screener for COVID-19 related anxiety. Death studies, 44(7), 393-401.
32. Mertens, G., Gerritsen, L., Duijndam, S., Salemink, E., & Engelhard, I. M. (2020). Fear of the coronavirus (COVID-19): Predictors in an online study conducted in March 2020.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4.
33. Omery, A. (1983). Phenomenology: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2), 49-64.
34. Sandman, P. M. (1993). Responding to community outrage: Strategies for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Fairfax: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pp.235..
35. Seale, H., Mak, J. P., Razee, H., & MacIntyre, C. R. (2012). Examin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towards seasonal and pandemic influenza. BMC Public Health, 12(1), 307.
36. Vegara-Ferri, J. M., Carboneros, M., Deliautaite, K., Diaz-Suarez, A., & Lopez-Gullon, J. M. (2020). Fan’s perspective on professional leagues and sporting events during COVID-19 confinement period. Journal of human sport and exercise, 16(4),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