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위드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에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변화된 대학교육의 변화를 인식하고, 그러한 변화에서 특히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총 18명의 대학교육 전문가 집단의 FGI 및 델파이 조사(1차, 2차)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COVID-19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은 지속·확대될 것이며, ‘자기교육역량, 공감적 소통, 협력적 태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특히 중요하게 요구된다. 둘째, 스마트기술과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 확대가 기대되며,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서는 ‘4-IR스마트 기술활용, 미디어 리터러시, 창의적문제해결능력, 도전실천역량, 윤리비판적사고력’이 요구된다. 셋째, 대학교육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의미가 재구조화될 것이라고 예상되며, ‘시민의식, 창의적문제해결능력, 진로창조역량, 융복합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넷째, 대학 간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활성화가 예상되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융·복합능력, 협력적태도, 진로창조역량’이 강조된다. 결론 COVID-19와 상관없이 여전히 중요한 핵심역량, COVID-19 이후 더욱 강조되어야 할 핵심역량 및 새롭게 부각된 핵심역량들을 제시해 추후 대학 핵심역량 재설정 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after COVID-19 and to explor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especially in such chang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FGI and Delphi surveys of 18 university education expert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face-to-face education will continue and expan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rolonged, and ‘self-educational competence, empathic communication, cooperative attitude, media literacy’ competence is especially important.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 using smart technology and edutech will be expanded. In this environmental change, ‘4-IR smart technology utilization, media literac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hallenge practice ability, ethical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required. Third, it is expected that social needs and meanings of the role of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restructured, and the importance of ‘citizen consciousn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areer creation competence, and convergence ability’ is highlighted. Fourt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universities are expected, and in this environment, ‘convergence ability, cooperative attitude, and career creation competence’ are emphasized.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resetting core competencies in future by presenting core competencies that are still important regardless of COVID-19,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more after COVID-19, and newly highlighted core competen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