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Covid-19의 교육환경에서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활과 대면 및 비대면을 병행하는 학습방법에 대한 적응과정을 살펴보고, 대학수업과 학습경험을 통한 과거와 현재의 삶의 변화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7명의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을 눈덩이 방법을 통해 표집 하였고, 현상학적 방법 중의 하나인 VanManen의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서 도출된 본질적인 주제는 5개로 ‘코로나상황에서의 반복되는 일상과 주변의 반대’, <생각보다 낯선 교육환경>, <좁혀지지 않는 디지털 격차>, <배움에서오는 즐거움>, <할 수 있다는 자신의 재발견>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5가지 본질적 주제는 ‘배움의 즐거움을 찾으며 인생의 자신감을 되찾는’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의 비대면 대학생활 경험을분석해보면 결국 배움의 과정은 ‘긍정적으로 나를 인식해 가는 변화’라고 요약해 볼 수 있다. 여전히 비대면 대학생활에서 불편한 점이 있겠지만 생각보다 낯선 비대면 교육환경 속에서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자신을 발견해 가는과정의 변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학생활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자유로움이 있지만 혼자서 책임을 져야 하는 불규칙하고 막막한 외로운생활로 나타났다. 편안한 집과 함께하는 친구들 그리고 안정된 집에서의 생활을 통해 대학생활을 주체적인 자기의삶에 대한 만족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을 위한 역할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인 목표와 꿈은 불안했던 마음과 생활이 안정됨에 따라 펼쳐질 꿈과 미래에대한 작은 희망이 생겨나고 삶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가 나타나 결국 미래에 대한 희망과 꿈을 가지는 것으로 볼수 있다. 전문대학 만학도 장애학생들의 경험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주체적인 자기의 삶에 대한 만족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의 변화. 아직 접하지 못한 장애인을 위한 역할을 모색하며 결국 삶에 대한 자기 결정권과 목표희망이 생겨나면서 긍정적으로 자신을 인식해 가는 변화의 과정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lives and the adaptation processes of students with late school disabilities, which consists of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methods under the Covid-19 pandemic and analyzes the changes in their past and present lives through the university classes and learning experiences. Seven students with late school disabilities were sampled through the snowball metho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Van Manen method, on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ies. Five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campus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ate school disabilities describing as “repeated daily life in the corona pandemic and opposition from surrounding”, “educational environment unfamiliar than expected”, “un-narrowed Digital Gap”, “pleasure from learning”, and “rediscovery of the self that he can do”. The said five essential themes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finding the joy of learning and regaining confidence in life”, however, which can also be summarized as “a change that is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on-contact campus life experiences of the student with late school disabilities. Although there are still inconveniences in non-face-to-face campus life, it can be understood as a changing process of discovering themselves positively in an unfamiliar nonface- 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eir campus experience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appeared as an irregular, dreary, lonely lives in which there is freedom, but taking responsibilities for it. Through a comfortable home, friends, and living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which brought satisfaction in their lives and positive perception as independent students. Not only that, but it appeared as a process of finding the role for the disabled. This can be understood as having hopes and dreams for the future as the mind and life that were anxious about specific goals and dreams were stabilized, dreams and small hopes for the future and the attitude toward life changes. In the campus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ate school disab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independently changed toward their independent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mselves as a process of change in which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and goals and hopes for their lives by seeking the role for the disabled who have not yet been encountered and in the process of positively recognizing themselves.

1. 서론

2. 본론

3. 연구결과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