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권14호_표지(0727).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영되었던 보육실습생의 보육실습 경험을 확인하고, 비대면 보육실습에 대한 어린이집원장의 생각을 분석하여 보육실습 내실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방법 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0명의 보육실습일지, 보육실습생의 반성적 자기평가서, 보육실습형태 조사 및 보육실습경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기도 지역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20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실습생의 보육실습 경험은 실습어린이집 이해, 하루일과 지도, 보육실습관련 문서작성, 지도교사 피드백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보육실습을 위하여 보육실습생들은 영유아의 개별성 이해를 위한 지원, 실습기관의 다양성 이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린이집원장은 비대면 보육실습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보육실제에 대한 보육실습생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콘텐츠 제작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비대면실습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내용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찾은 보육실습 내실화 방안을 보육실습생으로서 보육교사 직무수행 측면과 효과적인 보육실습 운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보육실습생으로서 보육교사 직무수행 시 영유아의 개별성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경험과 교육용 콘텐츠 제공, 하루일과 지도 시 일상생활, 놀이 및 활동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보육실습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효과적인 보육실습 운영에서는 실습 오리엔테이션 제공, 지도교사의 충분한 피드백 제공, 보육실습관련 문서작성 대면교육 또는 교육용콘텐츠 제공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면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비대면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를 활용한 비대면실습과 대면실습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보육실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of childcare trainees operate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was confirmed, and the ideas of the daycare center manager toward non-face-to-face childcare practice was analyzed to examine ways to improve childcare practice through the parallel betwee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practice. Methods A childcare practice diary of 30 third-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a reflective self-evaluation of childcare trainees, a survey on childcare practice patterns, and a survey on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s was conducted.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0 director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of childcare trainees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analyzed by understanding the practice daycare center, daily routine guidance, writing childcare practice-related documents, and teacher feedback. It was analyzed that for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childcare trainees are requesting support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ity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different childcare practices by each institution in advance and for support for quick adaptation. The directors of the daycare center generally had negative thoughts about non-face-to-face childcare practic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hildcare practices according to age was perceived positiv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nalysis that non-face-to-face practice is possible, a plan to improve childcare practice found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suggested in terms of fulfilling the role as a childcare trainee and support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childcare practice. In fulfilling the role as a childcare traine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conten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ity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operate childcare practice so that daily life, play, and activities including daily life and activities can be provided. In terms of support for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orientation, sufficient feedback from supervisors, and education and content related to document preparation related to childcare practice. Therefore, if contents that can supplement face-to-face practice are produced as contents, and non-face-to-face practice and face-to-face practice are carried out concurrently, it is expected to be a more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