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종교적 소수 집단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 무슬림 이주민의 종교적 실천이 코로나19 상황속에서 어떻게 디지털화되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적인 종교적 실천(private religious practice), 공적인 종교적 실천(public religious practice),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종교 실천, 그리고 한국에서의 디지털 종교 실천의 네 가지 구성 개념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예비 연구 및 선행 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구축된 연구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무슬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을 활용하여 총 189부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적인 종교적 실천은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종교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공적인 종교적 실천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종교 실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종교 실천은 한국에서의 디지털 종교 실천에 정(+)의 영향을 가졌다. 매개 효과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종교 실천은 사적인 종교적 실천 및 공적인 종교적 실천과 한국에서의 디지털 종교 실천 사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프라인 종교적 실천이 디지털화되는 데 코로나19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질병의 확산과 같은 상황에서 종교적 소수 집단의 디지털 종교 추구 현상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적인 종교적 실천이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종교 실천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디지털 종교가 제한된 상황 속에서 새로운 공적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ligious practices of Indonesian Muslim migrants, a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 have been digitized after COVID-19. The present study developed constructs to investigate their private religious practice, public religious practice,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and digital religious practice in South Kore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Surveys, and 189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S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vate religious pract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whereas, public religious pract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Furthermore,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had a positive (+) effect on digital religious practice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was also examined. Accordingly,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te, public, and digital religious practices in South Korea.
These findings imply that COVID-19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practices, and that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practices of minority groups in Korea, such as the Indonesian Muslims, can be strengthened in the restrictive circumstances caused by diseases.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 of public religious practice on digital religious practice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digital religion can function as a new public sphere in restricted situation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